카테고리 없음

황반변성 주사가격, 치료 시 장애등급·산정특례 적용될까?

건강 비밀 창고 2025. 7. 1. 18:32

 

 

황반변성 주사가격 치료 장애등급 산정특례

 

 

황반변성 주사가격, 치료 시 장애등급·산정특례까지 총정리

물체가 찌그러져 보이고, 시야 한가운데가 뿌옇게 흐려지는 증상…
혹시 황반변성이 아닌지 걱정되신 적 있으신가요?

 

고령화가 가속화되면서 황반변성 환자 수는 해마다 증가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치료에 들어가는 비용, 특히 주사 치료 가격이 만만치 않아
산정특례나 장애등급 적용 여부에 대한 관심도 커지고 있는데요.

 

이번 글에서는
황반변성 치료 주사 가격부터 산정특례, 장애등급 기준까지
환자와 가족이 꼭 알아야 할 정보를 정리해드릴게요.

 

 

황반변성이란?

눈의 망막 중심부에 있는 ‘황반’ 부위가 손상되어 중심 시력이 떨어지는 망막 질환입니다.

  • 습성 황반변성: 출혈이나 신생혈관이 생겨 시력이 빠르게 악화
  • 건성 황반변성: 망막 세포가 서서히 퇴화하며 시력 저하

습성의 경우 치료가 시급하고, 주사 치료가 주된 방법입니다.

 

황반변성의 주요 원인

  1. 노화
    • 60세 이상 고령층에서 주로 발병
    • 황반의 기능이 나이 들수록 점차 퇴화
  2. 흡연
    • 황반변성 위험을 2~3배 높이는 주요 인자
    • 혈관 손상과 산화 스트레스 증가
  3. 유전적 요인
    • 가족력 있는 경우 발병 가능성 높음
  4. 만성 질환
    • 고혈압, 고지혈증, 당뇨병 등도 영향을 줌
  5. 자외선 노출
    • 장기간 햇볕에 노출되면 황반 손상이 가속화

 

 

황반변성 증상, 이렇게 나타나요

초기엔 눈에 띄지 않지만, 서서히 시력 저하가 진행됩니다. 아래 증상이 있다면 꼭 안과 진료를 받으세요.

  • 직선이 휘어져 보인다 (예: 문틀, 책상 가장자리)
  • 시야 중심이 흐릿하거나 검게 보인다
  • 글자가 끊겨 보이거나 일부가 사라져 보인다
  • 밝은 곳과 어두운 곳의 적응이 느려진다
  • 한쪽 눈을 가려보면 중심 시야 이상이 확연히 느껴진다

➡ 특히 습성 황반변성은 진행 속도가 매우 빠르기 때문에, 빠른 치료가 중요합니다.

 

 

황반변성 치료 주사 가격은 얼마나 할까?

황반변성 주사는 눈 속에 직접 약물을 주입하는 치료입니다.
흔히 항-VEGF 주사라 불리며, 사용되는 약제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어요:

약물명 1회 투여 비용 (비급여 기준) 특징
루센티스 약 90만 원 가장 많이 쓰이는 표준 약제
아일리아 약 85~100만 원 루센티스와 유사, 지속력 ↑
베오부 약 100만 원 이상 최근 등장한 장기 지속형
아바스틴 약 20~30만 원 원래 항암제, ‘비정규’ 사용, 비용↓
 

🧾 하지만, 산정특례 등록 시 급여 혜택이 적용되면 5~10% 본인부담으로 줄어듭니다.

 

 

황반변성 산정특례 등록 조건 및 방법

산정특례란, 특정 중증 질환에 대해 진단이 확정되면 건강보험에서 의료비 본인부담률을 낮춰주는 제도입니다.

📌 등록 조건

  • 안과 전문의가 황반변성 진단
  • 습성 황반변성에 한해 등록 가능
  • 진단서 및 검사 결과를 갖고 건강보험공단에 신청

✅ 등록 시 혜택

  • 5년간 본인부담금 5~10%
  • 주사제, 검사, 진료비 모두 적용
  • 예: 90만 원짜리 주사 → 약 9만 원 부담

 

 

황반변성, 장애등급 받을 수 있을까?

시력이 일정 수준 이하로 떨어지면 시각장애 등급 신청이 가능합니다.

📌 시각장애 등급 기준

등급 기준 시력 (양쪽 눈 중 좋은 쪽 기준)
6급 0.1 이하
5급 0.05 이하
4급 0.02 이하
3급 0.01 이하
1급 광각 상실 (빛만 인식) 등
 

📌 단, 일상생활이 불가능한 수준의 시력 저하여야 하며,
한쪽 눈만 나쁘거나 교정이 가능하면 등급이 안 나올 수도 있습니다.

 

 

황반변성, 약물 치료 외 관리법은?

  1. 흡연 금지 – 황반 손상을 악화시키는 주요 요인
  2. 루테인·지아잔틴 섭취 – 시력 보호 성분, 식이보충제로 섭취 가능
  3. 자외선 차단 – 야외 활동 시 선글라스 필수
  4. 정기 검진 – 이상 증세 느껴지면 즉시 안과 방문
  5. 혈관 건강 관리 – 고혈압, 고지혈증도 망막 손상의 원인

 

 

결론: 황반변성, 빠르게 진단받고 제도 활용하자

황반변성은 방치하면 실명으로 이어질 수 있는 질환입니다.
다행히 조기 진단과 꾸준한 치료로 진행을 막을 수 있으며, 비용 부담은 산정특례나 시각장애 등록을 통해 줄일 수 있습니다.

 

눈이 침침하다, 직선이 휘어져 보인다, 글자가 끊겨 보인다면 미루지 말고 바로 안과 검사를 받아보세요.
한 번 잃은 시력은 되돌리기 어렵습니다. 눈 건강, 지금부터 지켜야 평생을 누릴 수 있습니다.